참가후기

참가후기

> 참가후기

서울 종로도서관 - 조병화 문학기행 참여 후기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윤성식
댓글 0건 조회 1,018회 작성일 14-11-07 10:30

본문

서울 종로도서관 - 조병화 문학기행 참여 후기 <P style="TEXT-ALIGN: center" align=center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">?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">제3차 종로도서관과 함께하는 '조병화 문학기행' 참여 후기&nbsp;(2014.10.15)</SPAN></P> <P style="TEXT-ALIGN: center" align=center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">- 시화 속에 녹아드는 힐링 조병화의 꿈과 사랑 이야기 -&nbsp;</SPAN></P> <P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 lang=EN-US><SPAN style="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&nbsp;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‘꿈은/ 존재의 숙소이며/ 사랑은/ 그 숙소의 양식~~’(조병화 시 &lt;나의 철학&gt; 중에서)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Dotum,돋움,sans-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순수한 고독과 허무를 배면에 깔고 영롱한 꿈과 사랑의 가지를 펼친 조병화 시인. </SPAN></SPAN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Dotum,돋움,sans-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베레모, 담배 파이프, 양복 윗주머니의 행커칩, 술, 유화, 소묘가 시인의 아이콘이다. </SPAN></SPAN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Dotum,돋움,sans-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은 저항 참여작가인 이상화, 한용운, 심훈, 김지하, 김남주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등과는 달리 </SPAN></SPAN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‘인간의 정서 회복에 진력을 </SPAN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다한 시인’으로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분류된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러나 내 머릿속 조병화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고통스럽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전두환에게 대통령 취임 축시를 바치는 등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군부독재를 미화하고, 이를 밑천 삼아 문인협회 이사장,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예술원장 등을 역임한 예술권력가로 각인되어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있으니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하긴 역지사지해 보면 누구나 배교를 거부하고 의연하게 목숨을 버린 천주교 순교자가 될 수는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없을 것이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특히 범인의 입장에서 보면. 저항에서 친일로 전향한 최남선과 이광수도 그랬듯,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목숨이 오가는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서슬퍼런 시기에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미적 감동을 추구하던 여린 마음의 시인이 군부독재의 총칼을 쉬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피할 수 있었을까?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만약 독재가 시인에게 축시를 강요하고, 강요 당한 시인의 눈앞에 사랑하는 가족이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오버랩 되었다면?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모르겠다. 어쩌면 시인은 그 쓰라리고 수치스런 역사의 편린을 떨쳐내기 위해 술과 담배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를 보듬고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꿈과 사랑과 낭만과 기다림과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리움과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이별과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고독과 죽음과 허무라는 단어 뒤에 더더욱 숨어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버렸는지도 모른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하지만 시인을 절대적으로 이해하고 찬양하고 싶지는 않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사람에겐 부정과 긍정이 공존한다. 그리하여 이번 문학기행에서는 부정적 장막을 잠시 걷고 시인의 고독과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Gulim,굴림,AppleGothic,sans-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허무와 꿈과 사랑의 숨결만 좇기로 한다.</SPAN>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경기도 안성. 예부터 안성맞춤의 유기가 유명한 곳, 전국의 모든 특산물이 유통되어 처녀들이 장사해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전혀 허물이 안 되던 곳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허생이 장사를 통해 부를 축적했다는 허생전의 배경이 된 곳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곳에 조병화 문학관이 있다.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하숙집에 근거한 윤동주 문학관, 소설 속의 지명에 뿌리를 둔 황순원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문학관과는 달리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은 자신의 고향에 문학관을 두었다. 특이하게도 살아 생전에 자신의 손으로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&nbsp;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가을 중턱의 맑고 평온한 농촌, 난실리 마을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짙푸른 하늘에 눈이 시렸는지 천지사방의 이파리들이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때 이르게 눈시울을 붉히고 있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황금들녘을 바로 지나 주차장에 이르자 감나무, 너도밤나무, 도토리나무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의 보초 사이로 팔자 지붕이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드러난다. 벽의 무성한 덩굴이 운치 있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청와헌(聽蛙軒)이다. 조병화 시인이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집필과 휴식을 취하던 곳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건물 바로 앞 &nbsp;들판에서 ‘개구리 소리를 듣는다.’하여 청와헌이라 칭했단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앞의 고독한 시비(詩碑)에는 시인을 함축한 ‘꿈’이 음각되어 있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‘꿈의 귀향/ 어머님 심부름으로 이 세상 나왔다가/ 이제 어머님 심부름 다 마치고/ 어머님께 돌아왔습니다.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’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생과 사의 원천을 어머니로 귀결 지은 조병화 시인. 그는 효자였다고 한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집 &lt;어머니&gt;를 낳게 하고,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3년 상을 치르는 마음으로 어머니 묘소 옆에 문학관을 둘 정도로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어머니를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자신의 종교로 치환한 그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대단한 효심은 어디에서 왔을까?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5남 2녀의 늦둥이 막내에 대한 어머니의 전폭적인 사랑에 연유했을 수도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있고,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 나이 여덟 살 때 일찍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여읜 아버지의 빈자리에 대한 반사 때문일 수도 있겠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런 추리에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이르자 문득 시인이 마지막까지 빨았던 담배 파이프는 아마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 엄마의 젖꼭지였는지도 모른다는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 생각이 든다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지금 청와헌에는 시인의 유품이 많이 보관되어 있다는데, 유화 등 귀중한 유품 보존 차원에서 일반인에게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공개되지 않는다고 하니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섬세한 숨결을 느낄 수 없어 아쉬울 뿐이다.</SPAN>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&nbsp;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청와헌에서 오른쪽으로 조금 걸으니 시인의 묘역이 나온다. 묘소의 오른쪽이 어머니, 가운데가 시인보다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5년 먼저 떠난 아내 김준 여사, 왼쪽이 시인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묘소 옆에는 어머니와 아들만 조각된 모자상이 시인의 효심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뽐내고 있다. 아내이자 며느리가 서운하겠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‘~ 나는 어머님의 흰 두루마기에 왈칵 붙어서/ 무섬무섬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꼼짝을 못했지/ ~ 이곳을 지나칠 때까지/ 그 생각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하얀 어머님 생각 ~’(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 &lt;오산역을 스칠 때마다&gt; 중에서)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남편의 지나친 효심과 시어머니를 읊은 많은 시를 대하며 저편에서 애끓어하던 아내와 며느리는 죽어서야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비로소 시어머니와 남편을 갈라놓았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의 기단식 무덤 앞의 비석은 의의로 간명했다. ‘片雲 趙炳華 1921.5.2~2003.3.8’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각 구름(片雲)의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호(?)에서 시인의 시 세계가 한꺼번에 느껴지는 듯하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작가의 호는 그 성격과 상징을 내포한다. 황순원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의 호는 백성의 고향을 의미하는 민향(民鄕)이다. 그는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저항 작가로 불린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반면, 편운에서 드러나는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병화는 분명 저항 참여시인이 아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각 구름처럼 살고자 했던 조병화. 외로이 떠 있는 한 조각 구름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에서 고독을 보았을까, 어느 순간 사라지는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구름에서 허무를 깨쳤을까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아니면 한가로이 노니는 조각 구름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을 보며 꿈을 꾸었을까. 그런 시인에게 독재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가 씌운 올가미는 가혹했다.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 문득 쳐다 본 푸른 하늘 속의 구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각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.&nbsp;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/SPAN>&nbsp;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묘소 참배 후 다시 청와헌 쪽으로 향하니 온통 하얀색의 벽에 팔자 지붕을 얹은 단층주택이 눈을 가로막는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편운재(片雲齋)이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각 구름이 머무르는 곳. 편운재는 별세한 시인의 어머니를 위해 그 묘소 옆에 세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묘막이란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입구 옆 벽면에는 ‘편운재’ 표지석이 붙어있고 그 밑에 시인의 효심이 새겨져 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“어머니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말씀/ 살은 죽으면 썩는다./ 어머니 陳遠行心 1882-1962 을 위하여 이 산막을 세움”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陳遠行心은 어머니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진종 여사의 불교 법명인 듯하다. ‘살은 죽으면 썩는다.’는 죽어서 가지고 갈 것은 없으므로&nbsp;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아끼지 말라는 가르침이란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소위 자비와 배품의 철학이 아니겠는가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은 어머니의 가르침을 증명코자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했는지 평소 지갑에 돈이 있는 한 술값 밥값을 항상 먼저 내고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가난한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문우들을 자존심 건드리지 않으면서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따뜻하게 보살폈다고 한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가진 거 모두 내 놓고 빈손으로 죽어서 썩어 없어지는 존재. 여기에서도 시인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탐구한 허무의 냄새가 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아마 시인의 순수한 고독과 허무의 유전인자는 어머니에게서 비롯되었는지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모르겠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앞 풀밭에서 편운재를 지키고 있는 하얀 조각상. 역시 모자상이다. 보채는 아이를 업고 먼 곳에 눈길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주는 어머니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일을 마치고 귀가하는 남편을 기다릴까? 책가방을 든 자식을 기다릴까?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눈길을 따라가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본다. 저 멀리 아스라이 보이는 동구밖 좁은 길. 어머니의 눈길은 그 길 끄트머리에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매달려 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밥상은 이미 차려 놓았는데 길은 오랫동안 텅 비어 있고 어머니의 가슴은 타들어 간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얼른 강아지의 그림자라도 비쳤으면 좋으련만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의 기다림과 그리움과 고독은 어머니의 눈길이 머문 곳에서 출발하고 있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편운재 안에는 시인의 유품과 생전에 작업실로 썼던 혜화동 서재를 원형 그대로 옮겨와 보존하고 있다는데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이 역시 보존 차원에서 공개되지 않는다고 하니 거듭 아쉬울 뿐이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편운재에서 아담한 계단을 내려오니 푸른 잔디의 너른 정원이 펼쳐진다. 그 위 하얀 차림의 이층 양옥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병화 문학관이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입구 옆 ‘그리움’이라는 제목의 외톨이 여인상이 일행을 맞이하며 오랜 기다림을 떨쳐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낸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문학관에는 시인이 직접 그린 인물소묘전이 열리고 있었다. ‘고독한 혼과 혼의 대화’라는 주제로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전시관 벽면에 빼곡 붙어있는 시인의 이웃 모습. 그 중에 특별히 눈에 띄는 소묘 하나가 반갑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황금찬 시인. 사랑과 평화를 노래한 아름다운 시인이기도 하지만 내가 사랑(?)하는 여현옥 시인이 찬미하는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분이기 때문이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조병화 시인은 황금찬 인물 소묘 위에 이렇게 적어 놓았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“당신은 언제나 악의가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없는 그 목소리가 좋소.”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1층 전시실 가운데 유리관에는 시인의 베레모, 만년필, 안경, 도장, 원고지 등 시인의 상징물들이 들어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특히 끝이 부드럽게 굽은 담배 파이프가 눈에 띈다. 시인은 공초 오상순처럼 대단한 골초였다고 한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담배를 입에 물고 원고를 쓰고 늘 담배를 손에서 놓지 않을 정도로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아마 시인을 죽음에 이르게 한 병환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담배와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.&nbsp;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</SPAN>&nbsp;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전시관의 안쪽 구석에는 머리에 월계관을 쓴 시인의 흉상이 놓여 있다. 월계관은 계관시인을 상징한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흉상 밑받침에 새겨진 시인의 자화상이 문득 내 눈길을 사로잡는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‘버릴 거 버리고 왔습니다./ 버려선 안 될 거까지 버리고 왔습니다./ 그리고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./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나의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자화상’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lt;버릴 거&gt;와 &lt;버려선 안 될 거&gt;와 &lt;보시는 바&gt;가 머리에서 희미하게 잡힐 듯한데, 흉상 머리 위의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감투가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자꾸만 눈에 밟힌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다른 유리관에는 온통 시인의 작품이 담겨 있다. 시집 53권을 포함하여 수필집, 이론서, 화집 등 160여권의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저서를 출간하였단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저작량은 우리나라 시인 중 최고의 기록. 입이 절로 벌어진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약 50년간 저작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활동을 했다 치면 1년에 3권 이상 출간한 셈인데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엄청난 성실성과 추진력과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체력(대학 럭비선수였다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함)에 박수를 보낸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일부에서는 시인의 시가 너무 쉽다고도 한다. 수긍이 간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의 특성인 애매모호성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이나&nbsp;메타포가 결여된,&nbsp;일상 언어를 이용한 평이한 표현으로 인해 시인의 시를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읽으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 의미를 금방&nbsp;알 수 있을 정도이니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의&nbsp;감성을 여과 없이 원고지에&nbsp;뿌린 것도 같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래서&nbsp;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학창시절에 공부를 썩 잘 했다는&nbsp;머리 좋은 시인이 혹시 치열한 고뇌 없이 가슴이 아닌 머리로만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건 아닌지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창작이 아닌 제작을 한 건 아닌지 의심스럽기도 하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리고 부와&nbsp;여유와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권력의 펜에서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흘러나온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가 인간의 고뇌를 얼마나 깊이 담을 수 있을지 의문스럽기도 하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도 든다.&nbsp;일상생활 언어와 감성적 언어로 쉽게 쓴다고 해서 무슨 문제란 말인가?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현대미술 미니멀 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아트의&nbsp;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선구자인 미국&nbsp;</SPAN><FONT face=굴림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멜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"> 보크너</SPAN>(Mel Bochner)가</SPAN></FONT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"만약 누군가가 그의 작업을 예술이라고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한다면, 그것은 예술이다."라고 말한 것처럼,&nbsp;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의 시가 쉽든 말든 그의 시는&nbsp;시다.&nbsp;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오히려 난해한&nbsp;정보화 시대 속 바쁜 독자들의 영혼을 정화시키는 순기능도 생각해 볼 수 있는,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런 시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하여간&nbsp;그 놀랍고도 초인적인&nbsp;저작량,&nbsp;시인의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성실성에 대한 평판과 체력과 그 엄청난 흡연량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생각하면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 이해 안 되는 것도 아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은 일제 강점기 때 일본 동경에서 사범대학을 다녔다. 그러나 전공은 물리?화학으로서 처음부터 시를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쓸 작정은 아니었다고 한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다만 유학시절의 외로움을 잊기 위해 시집을 끼고 다닌 것이 시인이 된 계기가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되었다고 한다.&nbsp;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시인은 해방 후인 1949년, 그러니까 29살 서울고 교사 시절, 시집 &lt;버리고 싶은 유산들&gt;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발표하면서 시인의 길로 들어섰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해방 후의 일이니 구조적으로 일제에 대한 저항 문인은 될 수 없었겠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그래서 친일도 모자라 전두환 생일 축시까지 바친 서정주 시인보다 낫다는 생각에 이르자 피식 웃음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나온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복도 위 벽면에는 시인과 가족의 역사가 나열되어 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복스럽고 넉넉한 모습의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그의 아내 김준. 그녀가 산부인과 의사라는 대목에서 가난한 시골 총각의 영민함이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느껴진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의사인 자신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앞에서 술과 담배를 내지르는 겁 없는 남편, 깊은 효심으로 어머니 치마폭을 떠나지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않는 남편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아내에 관한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&nbsp;시를 거의 남기지 않는 남편, 방대한 창작과 독서와 잦은 여행으로 가정에 소홀했을 남편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그런 남편의 바깥에서 지독하게 고독과 허무를 느끼고 기다림과 그리움으로 몸부림 친 사람은 시인이 아닌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오히려 그녀였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.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2층 복도 끝에는 시인이 펜을 놓게 되는 슬픈 사연이 머물러 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‘일생을 시를 쓰며 시를 살아왔지만/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두뇌에 약간 고장이 나서 더 이상/ 창작생활을 할 수가 없습니다./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따라서 이 시집(53)으로 끝을 맺으려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하는 겁니다./ 좀 섭섭하지만 그러나 만족을 합니다.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’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시인의 마침표를 보니 가슴 한 켠이 먹먹해 진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결국 이렇게 허무로 돌아가는가 보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창작에 대한 열정도 권력과 명예에 대한 열정도 모두 허무가 되는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이 우주의 원리. 이 엄숙한 철학 앞에서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우리는 누구나 겸허해진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그런데 두뇌에 약간 고장이 났다니! 그럼 치매 증상이라도 있었다는 말인가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누구보다도 왕성한 두뇌 활동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을 보여왔기 때문에 치매는 아닐 터이나 의외로 다가온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‘비석이 쭈르르 비를 맞고 있다./ 순수 고독,/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순수 허무.’(조병화 시 &lt;비석&gt; 중에서)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시인의 마지막 시집 53권 &lt;넘을 수 없는 세월&gt;은 시인이 소천한 후에 유고집으로 출간되었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2층 복도 끝 문을 지나니 옥상이 나온다. 청아한 하늘과 후련하게 확 트인 황금 들녘, 그리고 시원한 바람이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 무조건 좋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옥상 한 켠, 푸른 천에 ‘꿈’이 하얗게 새겨진 깃발. 조병화 문학관 심벌이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푸른 꿈은 금방이라도 푸른 하늘로 날아갈 듯 거침 없이 나부끼고 있다.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그림은 나의 위안이고 시는 나의 철학이라던, 시는 그림처럼 쓰고 그림은 시처럼 그린다던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보편적 인생을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노래하고 싶었다던 편운 조병화 시인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시인이 조각 구름되어 푸르게 날아가고 있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수치와 욕망이 없는, 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Batang,바탕,serif; FONT-SIZE: 11pt; 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>꿈과 사랑이 있는 그 곳으로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0pt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1pt">&nbsp;</SPAN></P> <P style="TEXT-ALIGN: center" class=바탕글 align=center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">********</SPAN></P> <P style="TEXT-ALIGN: center" class=바탕글 align=center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?xml:namespace prefix = o /><o:p></o:p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">즐거운 소풍을 마련해 주신 종로도서관에 거듭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 먼 길을 잘 이끌어 주신 도서관 관계자 여러분께도 고마운 말씀 전하구요. 그리고 강의실에서 버스에서 문학관 현장에서 조병화 문학에 대해 열정적으로 가르쳐주신 경희대학교 김종회 교수님과 문학관 문화해설사님 정말 감사합니다. </SPAN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FONT-FAMILY: 바탕, batang; FONT-SIZE: 11pt">&nbsp; </SPAN><o:p></o:p></P> <P class=바탕글><SPAN style="mso-fareast-font-family: 바탕" lang=EN-US></SPAN></P>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